농사365

농사365


농사에 필요한 정보를 안내합니다.
말벌 피해를 줄이기 위한 선제조치 방법
2025-05-08

말벌 피해를 줄이기 위한 선제조치 방법

식물 병충해는 증상이 나타난 후에 대응하지 않고 선제적인 조치를 하는 것이 당연시되는데, 말벌은 대발생 시기에만 말벌 죽는 살충제를 찾는 문의가 집중돼 이러면 안 되겠다고 생각해 이 글을 쓰게 됐습니다. 식물 병충해는 늘 파헤치지만 말벌의 생태에는 별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공부를 한참 했습니다.말벌에는 장수말벌, 등검은말벌, 참말벌, 좀말벌, 황말벌, 꽃말벌 등 수십가지 다양한 종이 있는데, 말벌의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서식지,
미국흰불나방이 모든 활엽수에 알을 낳을까?
2025-05-08

미국흰불나방이 모든 활엽수에 알을 낳을까?

해충은 일반적으로 특정 수목을 가해하지만 미국흰불나방은 이례적으로 수백 종의 활엽수를 가해할 수 있는 다식성 나방입니다. 그런데 다양한 수목이 섞여있는 곳에서는 모든 나무에 무차별적으로 알을 낳는 것이 아니라, 특정 활엽수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선호도 차이는 나무 잎의 부드러움, 질소 함량, 잎의 방어물질 분비량 차이 등에 따라 생리적으로 결정됩니다. 쉽게 말해, 유충이 잘 자라고 먹기 쉬운 나무를 골라 알을
대추나무 잎이 말리고 딱딱해지나요? 대추나무잎혹파리를 의심하세요
2025-05-06

대추나무 잎이 말리고 딱딱해지나요? 대추나무잎혹파리를 의심하세요

봄철 대추나무의 새 잎이 돋기 시작할 무렵, 대추나무의 어린잎 가장자리가 보라색이나 갈색으로 변하면서 안쪽으로 둥글게 말리고 점차 딱딱해지다가 낙엽지는 증상을 보신 적 있나요? 진딧물일수도 있고 대추나무잎혹파리일수도 있습니다.펼쳐서 벌레를 보면 바로 확인이 되지만, 혹시 밭에서 잎을 펼쳐보지 않고 그냥 집으로 왔다면 잎의 모양만으로도 식별할 수 있습니다.대추나무잎혹파리로 판정됐다면 아래의 내용을 읽어보면 됩니다.대추나무잎혹파리는 피해를
토양에 황을 공급할 때 칼슘유황 비료와 입상 유황의 차이
2025-05-06

토양에 황을 공급할 때 칼슘유황 비료와 입상 유황의 차이

토양에 황을 공급하는 목적으로는 칼슘유황비료를 사용할수도 있고, 입상 유황을 사용할수도 있습니다.칼슘유황비료는 Ca²⁺ 26%, SO₄²⁻ 32%, 그외 불순물를 함유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SO₄²⁻를 활용하는 것이고,입상유황비료는 S을 95%, 벤토나이트 5%를 함유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새로 생성될 SO₄²⁻를 활용하는 것입니다.똑같은 양의 칼슘유황비료와 입상유황을 토양에 투입했을 때 이론적으로 생성 가능한 SO₄²⁻의 양을 정확하게
참깨 4월말, 5월초에 심으면 안된다
2025-05-05

참깨 4월말, 5월초에 심으면 안된다

참깨는 대표적인 열대성 작물입니다. 더운 기후를 좋아하고, 추위에는 약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블로그에 수많은 농민들이 올려놓은 글을 보면 참깨를 5월초에 심는다고 적어놓은 분들이 많습니다.하지만 참깨를 심는 시기에 대한 이해 없이 너무 이르게 파종하면 생육에 큰 장애를 겪게 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참깨 파종 적기와 조기 파종 시 생기는 문제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준 온도 : 지온 18℃ 이상, 기온 20℃ 전후그런데 극단적으로
유황 비료와 과일 맛의 관계
2025-05-05

유황 비료와 과일 맛의 관계

농사를 지어보신 분들은 한 번쯤 “유황을 주면 작물 맛이 좋아진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실제로 유황은 마늘, 양파 같은 향신료에 향미을 진하게 하고, 고추, 오이, 수박, 참외 같은 열매 작물에서 맛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입니다.하지만 막상 황 성분이 들어간 비료를 사용해 보면,👉 어떤 비료는 확실히 맛이 진해지는데,👉 또 어떤 비료는 큰 효과를 못 느끼는 경우가 있습니다.비료마다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지 비교해보겠습니다.유황이
고구마순은 언제 심어야 할까?
2025-05-05

고구마순은 언제 심어야 할까?

고구마를 심는 시기를 결정할 때 ‘날씨가 따뜻해졌으니 이제 심어야지’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4월 10일 쯤 지나서 날씨가 따뜻해지면 재래시장에서 고구마순을 파는 상인들이 많고, “날이 이렇게 따뜻한게 당연히 심어도 된다”고 말하면서 판매합니다.하지만 우리가 날씨가 따뜻하다고 느끼는건 공기 온도(기온)가 높을 때이고, 실제로 고구마의 활착과 생육에 영향을 주는 건 공기 온도가 아니라 흙 속 5~10cm 깊이의
복숭아 나무의 줄기에서 진액이 흘러내리는 원인과 대응 방법
2025-05-04

복숭아 나무의 줄기에서 진액이 흘러내리는 원인과 대응 방법

복숭아, 매실, 살구 같은 나무의 줄기에서 진액이 흘러내리는것을 보신 적이 있나요?이 문제의 원인은 복숭아유리나방이라는 해충입니다. 줄기에서 진액(수지)가 흘러나오고 심하면 가지가 부러지거나 고사하기도 합니다. 복숭아유리나방이 어떤 피해를 주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복숭아유리나방은 개체 단위로 보면 1년에 1번 발생하지만, 지난 겨울에 월동할 당시에 어린 유충이었던 놈도 있고 많이 자란 놈도 있었을겁니다. 많이 자란 유충
요소를 물에 녹여 잎에 분무하면 효과가 없다
2025-05-04

요소를 물에 녹여 잎에 분무하면 효과가 없다

농약사를 운영하면서 손님들에게 “배추가 빨리 크라고 요소비료를 물에 녹여 분무기로 뿌렸다”는 말을 종종 듣는데, 전혀 효과가 없는 방법입니다. 이유를 말로 설명하면 복잡하기도 하고, 오랫동안 그렇게 해왔기 때문에 알려드려도 잘 믿지도 못하십니다.요소를 물에 녹여 엽면시비하면 아무 효과가 없는 이유를 정리해봅니다.요소비료에는 질소 함량이 46%로 질소를 함유하는 다른 비료에 비해서도 아주 높습니다.그런데 요소 성분 자체는 식물이 직접 흡수하지